본문 바로가기

혼자공부

측광 & AE(노출고정)


측광.. 빛을 측정한다는 말인듯한데..
얼마나 밝은지를 측정한다고 생각하면 될듯하다..

무슨소리인고 하니..
지금 찍으려고 하는 뷰파인더에 보이는 화면의 밝기를 생각하면 되겠다...

맑은날 야외에서 사진을 찍으려고 하면 밝은 상태로 인하여 셔터스피드가 빠르게 설정될것이다..(AV모드기준)
이것은 카메라가 밝다고 측광하여 셔터 스피드를 조절하는것이다..
반대로 어두운 실내에서 사진을 찍는다면 카메라는 어둡다고 측광하고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설정할것이다..

자.. 여기서 의문점이 들수있겠다..
밝던지 어둡던지.. 카메라가 알아서 측광해서 알아서 조절해주는데..
뭐하러 측광이란것을 알아야 하는것인지..
이런 예라면 어떨까..

맑은날 야외에서 빛을 등지고 서있는 피사체를 찍으려 한다.. 보통 역광이라고 말하는 상태이다..
빛을 등지고 있기에 피사체는 어둡게 보일테고 그 피사체의 주변은 빛에 의해 밝게 보일것이다..
어두움과 밝음이 극명하게 나눠지며 동시에 화면에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카메라는 밝은것을 기준으로 셔터스피드를 설정하여 빠르게 할것인지..
어두운 피사체를 기준으로 셔터스피드를 느리게할것인지..

대충알아서 평균치로 잡아서 셔터스피드를 조절해줘요... 이것이 평가측광 모드인듯하다..
역광인 상태에서는 이렇게 찍은후 사진을 확인하면 피사체는 어둡게 보일것이다..
배경의 빛이 너무나 밝기 때문에 평균을 내어보아도 특별한 의미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자.. 그럼 태양이 내 등을 지나 다른곳으로 갈때까지 기다렸다가 사진을 찍을것인가..
이제 측광법을 배우면 겁낼필요도 없을듯하다..(이것은 어디까지나 가닉이 생각나는대로의 이론일뿐이다. 많이 찍어보자..)

스팟측광 : 평가측광과 달리 사진의 가운데 좁은 부분에 대해서만 측광을 한다..
이말이 무엇이냐하면.. 빛을 등지고 있는 피사체만 측광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배경의 빛의 밝기는 무시되고 어두운 피사체만의 밝은 정도를 측정하여 셔터 스피드를 조절한다..
평가측광으로 찍을때보다 셔터스피드가 느려질것이다..
이렇게 찍으면 평가측광때보다 피사체가 밝게 보여질것이다.. 배경또한 더욱 밝아질것이다(너무 밝아 눈이 부실수도있겠다..)

측광은 언제 하는냐.. 삐릭!! 우리가 반셔터상태로 포커스를 잡을때 동시에 측광이 이루어 진다..
아까와 같은 역광상태를 다시 생각해보자..
스팟측광으로 설정하고 피사체는 황금비율을 생각하고 중심에서 조금 벗어난 곳에 위치 시키고 사진을 찍을것이다.
피사체를 아주 검게 표현하기 위에 밝은 배경을 측광할것이다..
측광과 포커싱이 동시에 삐릭하며 결정된다고 했다..
포커싱은 어두운 피사체이고.. 측광은 밝은 배경이다.. 둘이 다른곳이다.. 우리는 삐릭! 한번만 누를수있다..
어디에 대고 삐릭을 하여야 하나..
이때 필요한것이 AE(노출고정)이다.
측광할 배경에 대고 삐릭!! 그리고 *표시로 되어있는 AE버튼을 누른다. 배경의 측광값이 저장된다.
이젠 어디서 삐릭을 하여도 *로 방금전에 고정시킨 측광값으로 찍히게 된다.
아무리 어두운곳에서 삐릭하여도 밝은 상태라고 생각하고 셔터스피드가 빠르게 된다..
배경 보고 삐릭!! -> * (노출고정) -> 피사체를 보고 삐릭!! (포커싱) 반셔터 상태로 피사체를 원하는 위치에 놓고 찍으면된다.

보통의 경우는 역광인 경우 배경 노출고정후 피사체에 플레쉬를 터트려 찍으면 이쁘게 찍힌다고한다..

이런 저런 상황에 따라 이럴땐 어떻게 설정하면 될까.. 이럴땐 어떨까..
1000피스짜리 퍼즐을 맞추는 것처럼 하나하나 이해되고 응용하는 시간들이 즐겁다..
오늘 AS맡겨진 그놈을 찾으러 간다..
몇일동안 생각했던 이런저런 상황에서의 사진이 생각대로 찍혀질런지 지금 너무나 궁금하다..

예상하고 찍어보고 예상과 다른이유를 찾고.. 또 다른 무언가를 배우고..
다시 예상하고.. 찍어보고...
언젠가 내가 생각한대로 찍을수 있는 날이 오길 기대하며...

오늘도 바디가 없는 렌즈만 만지작 거리며 퇴근시간을 기다린다....




'혼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로보 테스트  (3) 2011.08.31
렌즈와 바디에대한..  (6) 2011.08.29
카메라 모드 정리  (1) 2011.08.23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4) 2011.08.22
심도  (1) 2011.08.16